팔색조과를 가장 닮고, 화려한 색상의 반점이 있는 어두운 색깔의 지상에 사는 새인
무지개팔색조 (
Pitta iris).
참새목은 새의 모든 종 수의 거의 반 가량이 속해 있는 목이다. 연작류(燕雀類)로도 불린다. 계통 분류학적으로는 앵무목과 가장 가깝다. 3개 아목에 145여 개 과를 이루며 현존하는 조류의 약 60%가 속한다. 참새·제비·종다리·까치·까마귀·팔색조·박새·멧새·개똥지빠귀·굴뚝새·잣새·방울새·금새·할미새·나이팅게일·찌르레기·카나리아 같은 귀엽고 사랑스러운 새들을 포함하여 약 6,500여 종으로 이루어져 있다.
전세계에 널리 분포하며, 번식력이 가장 뛰어난 무리이다. 발가락은 앞쪽으로 세 개, 뒤쪽으로 한 개가 벌어져 있는데, 특히 뒷발가락이 발달되어 있다. 발성기관인 명관(울음관)이 발달되어 있으며, 번식기가 되면 독특하게 지저귀면서 세력권을 지키는 것이 많다.너무 귀여운 이들은 흔히 만날 수 있다.
하위 분류
-
뉴질랜드굴뚝새아목 (Acanthisitti)
-
산적딱새아목 또는 명금류사촌아목 (Tyranni) - 명금류사촌(suboscine) 또는 명금류사촌류
- 왕부리새하목 또는 넓적부리새하목 (Eurylaimides) - 구대륙 명금류사촌 (또는 넓적부리 명금류사촌)
- 산적딱새하목 (Tyrannides) - 신대륙 명금류사촌
- 화덕딱새소목 (Furariida)
- 산적딱새소목 (Tyrannida)
-
참새아목 또는 명금류 (Passeri)
- 명금류 기저 분류군
-
까마귀하목 (Corvides)
- 까마귀하목 기저 분류군
- 꾀꼬리상과 (Orioloidea)
-
덤불때까치상과 (Malaconotoidea)
- 까마귀상과 (Corvoidea)
-
참새하목 (Passerida)
- 참새하목 기저 분류군
-
흰턱딱새소목 (Sylviida)
- 기저 분류군
- 섬개개비상과 (Locustelloidea)
- 흰턱딱새상과 (Sylvioidea)
- 오목눈이상과 (Aegithaloidea)
-
솔새과 (Phylloscopidae)
- 힐리아과 (Hyliidae)
-
오목눈이과 (Aegithalidae)
- Scotocercidae
-
휘파람새과 (Cettiidae) - 세티아속 (Cettia)과 휘파람새속 (Horornis) 포함
- Erythrocercidae
- 딱새소목 (Muscicapida)
- 여새상과 (Bombycilloidea)
- 딱새상과 (Muscicapoidea)
-
상모솔새과 (Regulidae)
-
나무발바리상과 (Certhioidea)
-
참새소목 (Passerida)
- 기저 분류군
-
멧새상과 (Emberizoidea)
-
지빠귀풍금조과 (Rhodinocichlidae)
-
긴발톱멧새과 (Calcariidae)
-
멧새과 (Emberizidae)
-
홍관조과 (Cardinalidae)
- 미트로스핑구스풍금조과 (Mitrospingidae)
-
풍금조과 (Thraupidae)
-
신대륙참새과 (Passerellidae)
-
아메리카솔새과 (Parulidae)
-
찌르레기사촌과 (Icteridae)
- Calyptophilidae
- 굴뚝지빠귀과 (Zeledoniidae)
- 쿠바솔새과 (Teretistridae)
- 푸에르토리코풍금조과 (Nesospingidae)
- 스핀달리스과 (Spindalidae)
- 히스파니올라풍금조과 (Phaenicophilidae)
계통 분류
2021년 브라운(Braun)과 킴볼(Kimball) 등의 연구에 의한 육조류 계통 분류이다.[1]
육조류 수리류
콘도르목
수리목
올빼미목
파랑새류
쥐새목
뻐꾸기파랑새목
비단날개새목
코뿔새목
파랑새목
딱따구리목
오스트레일리아조류 느시사촌목
매목
앵무목
참새목
다음은 2019년 올리버로스(Oliveros) 등의 연구에 의한 참새목 계통 분류이다.[2][3]
참새목 뉴질랜드굴뚝새아목(1과 4종 포함)
산적딱새아목(16과 1,356종 포함)
참새아목(125과 5,158종 포함)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