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simg

참새목 ( Korean )

provided by wikipedia 한국어 위키백과

 src=
팔색조과를 가장 닮고, 화려한 색상의 반점이 있는 어두운 색깔의 지상에 사는 새인 무지개팔색조 (Pitta iris).

참새목의 모든 종 수의 거의 반 가량이 속해 있는 목이다. 연작류(燕雀類)로도 불린다. 계통 분류학적으로는 앵무목과 가장 가깝다. 3개 아목에 145여 개 과를 이루며 현존하는 조류의 약 60%가 속한다. 참새·제비·종다리·까치·까마귀·팔색조·박새·멧새·개똥지빠귀·굴뚝새·잣새·방울새·금새·할미새·나이팅게일·찌르레기·카나리아 같은 귀엽고 사랑스러운 새들을 포함하여 약 6,500여 종으로 이루어져 있다.

전세계에 널리 분포하며, 번식력이 가장 뛰어난 무리이다. 발가락은 앞쪽으로 세 개, 뒤쪽으로 한 개가 벌어져 있는데, 특히 뒷발가락이 발달되어 있다. 발성기관인 명관(울음관)이 발달되어 있으며, 번식기가 되면 독특하게 지저귀면서 세력권을 지키는 것이 많다.너무 귀여운 이들은 흔히 만날 수 있다.

하위 분류

계통 분류

2021년 브라운(Braun)과 킴볼(Kimball) 등의 연구에 의한 육조류 계통 분류이다.[1]

육조류 수리류  

콘도르목

   

수리목

     

올빼미목

  파랑새류  

쥐새목

     

뻐꾸기파랑새목

     

비단날개새목

     

코뿔새목

     

파랑새목

   

딱따구리목

            오스트레일리아조류

느시사촌목

     

매목

     

앵무목

   

참새목

         

다음은 2019년 올리버로스(Oliveros) 등의 연구에 의한 참새목 계통 분류이다.[2][3]

참새목

뉴질랜드굴뚝새아목(1과 4종 포함)

     

산적딱새아목(16과 1,356종 포함)

   

참새아목(125과 5,158종 포함)

     

각주

  1. Braun, E.L. & Kimball, R.T. (2021) Data types and the phylogeny of Neoaves. Birds, 2(1), 1-22; https://doi.org/10.3390/birds2010001
  2. Oliveros, C.H.; 외. (2019). “Earth history and the passerine superradiation”.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116 (16): 7916–7925. doi:10.1073/pnas.1813206116. PMC 6475423. PMID 30936315.
  3. Gill, Frank; Donsker, David; Rasmussen, Pamela, 편집. (2020). “Family Index”. 《IOC World Bird List Version 10.1》. International Ornithologists' Union. 2021년 2월 19일에 확인함.
license
cc-by-sa-3.0
copyright
Wikipedia 작가 및 편집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