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simg

말레이곰 ( Korean )

provided by wikipedia 한국어 위키백과

말레이곰(Helarctos malayanus)은 주로 동남아시아열대우림에 서식하는 곰의 일종이다. 태양곰이라고도 불린다. 인도 북부, 방글라데시, 미얀마, 태국, 라오스, 캄보디아, 베트남, 중국 남부, 말레이 반도, 보르네오·수마트라 등지에 분포하고 있다.[1]

특징

몸길이는 1.2~1.8 m로, 곰과의 동물 중에서 가장 작다.[2] 수컷은 암컷보다 10~45% 더 크고.[3] 몸무게는 각각 30~70 kg, 20~40 kg이다.[4] 어깨 높이는 60~78 cm이다.[5] 발톱이 낫처럼 휘어있고 발이 크며 발바닥에는 털이 없다. 또, 발이 안쪽으로 굽어있어서 안짱다리로 걷지만, 이것 때문에 무언가에 오를 때에는 효과적이다.[6] 귀는 몹시 짧고 둥글며 코는 회색 또는 오렌지색이다. 꼬리 길이는 3~7 cm이다.[3] 크기는 작지만, 혓바닥이 20~25 로 길다. 이 긴 혀를 이용해 벌집에서 꿀을 뽑아먹는다.[7]

다른 곰과 달리, 털이 짧고 매끄러운데, 이것은 기후에 알맞게 적응한 결과이다. 털은 검은색이며 가슴에는 말굽 모양의 오랜지색 둥근 무늬가 있다. 전설에 따르면 이 무늬는 태양을 뜻한다고 한다.[2]

식사

안경곰아메리카흑곰과 마찬가지로 육식 위주의 잡식성도 아니고 초식 위주의 잡식성도 아닌 가리지 않고 닥치는대로 먹는 잡식성으로 평소에는 꿀을 먹지만 무화과 열매, 곤충도 먹고, 드물게 동물들을 잡아먹거나 식물을 먹기도 한다.[8] 100종의 곤충과 50종 이상의 식물을 먹는 것으로 관찰되기도 했다.[9]

꿀을 매우 좋아하여 말레이어로 'Beruang Madu'라고 하는데, 이는 '꿀곰'(honey bear)라는 뜻이다.

생활

Sun Bear 3.jpg

대왕판다와 마찬가지로 겨울잠을 자지 않는다. 암컷은 1년에 1~2마리의 새끼를 낳으며, 임신 기간은 96일이다. 갓 태어난 새끼의 몸무게는 300~400 g이며, 털과 시력은 없다. 생후 18개월까지는 어미와 같이 지내는데, 생후 1~3개월이 지나면 달릴 수 있고 3~4년이 지나면 성숙기에 이른다.

주로 밤에 활동하며, 낮에는 나무 위에서 잠을 자거나 햇볕을 쬔다. 야생 말레이곰은 홀로 사는데, 이는 먹이를 두고 경쟁하지 않으려 하는 것으로 보인다.[10]

위협

천적으로는 인간을 제외하면 별로 없으나,[11] 가끔, 말레이호랑이수마트라호랑이, 그물무늬비단뱀, 구름표범 등 주변에 서식하는 포식동물의 습격을 받을 때도 있다.[4]

다른 곰과 비교해서 크기도 작고 온순하여, 애완동물로 취급받는 경우도 있다.[12]

주변의 농작물을 망가뜨려 발생하는 인간과의 충돌 및 가죽과 한약에 쓰이는 쓸개를 위한 남획으로 개체 수가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다. 2007년, IUCN멸종위기등급을 "자료 부족"(data deficient)에서 "취약"(vulnerable)으로 격상했다.[13]

아종

  • Helarctos malayanus malayanus
  • Helarctos malayanus euryspilus - 보르네오섬에서만 발견된다.

계통 분류

다음은 곰과의 계통 분류이다.[14]

곰과 판다아과

대왕판다

    안경곰아과

안경곰

   

Arctodus simus

    곰아과

느림보곰

       

말레이곰

     

반달가슴곰

   

아메리카흑곰

         

동굴곰

     

큰곰

   

북극곰

             

각주

  1. Stirling I., 1993; Bears, majestic creatures of the World. Rodale Press, Emmaus
  2. “Helarctos malayanus”. 2012년 12월 31일에 확인함.
  3. Brown, Gary (1996). 《Great Bear Almanac》. 340쪽. ISBN 1-55821-474-7.
  4. Fredriksson, Gabriella M. (2005). “Predation on Sun Bears by Reticulated Python in East Kalimantan, Indonesian Borneo” (PDF). 《Raffles Bulletin of Zoology》 53 (1): 165–168. 2007년 8월 11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12월 31일에 확인함.
  5. Bies, L. (2007). ADW: Helarctos malayanus: Information “Helarctos malayanus” |url= 값 확인 필요 (도움말). 2012년 12월 31일에 확인함.
  6. “PLYMOUTH UNIVERSITY FIELD TRIP- MALAYSIA”. 2012년 12월 31일에 확인함.[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7. Sun Bear at Arktofile. Arktofile.net. 2011-03-26.
  8. Wong Siew Te, Servheen Christopher, Ambu Laurentius (2002). “Food habits of Malayan Sun Bears in lowland tropical forests of Borneo” (PDF). 《Ursus》 13: 127–136. 2012년 3월 12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12월 31일에 확인함.
  9. Frediksson Gabriella, 2001; "Beruang madu." "Sahabat Alam, LORIES. Jan 2001:3–6."
  10. Wong, S. T. “The Integration of Fulung and Mary”. Borneo Sun Bear Conservation Center. 2014년 4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12월 31일에 확인함.
  11. San Diego Zoo's Animal Bytes: Sun Bear. Sandiegozoo.org. 2012년 12월 31일 확인.
  12. Bunnell, Fred (1984). Macdonald, D., 편집. 《The Encyclopedia of Mammals》. New York: Facts on File. 97쪽. ISBN 0-87196-871-1.
  13. Concern grows for the smallest bear. BBC News. 2007년 11월 12일 작성. 2007년 12월 31일에 확인.
  14. Johannes Krause et al.: Mitochondrial genomes reveal an explosive radiation of extinct and extant bears near the Miocene-Pliocene boundary.BMC Evolutionary Biology 2008, doi 10.1186/1471-2148-8-220
Heckert GNU white.svgCc.logo.circle.svg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title=
license
cc-by-sa-3.0
copyright
Wikipedia 작가 및 편집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