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simg

수염오목눈이 ( Korean )

provided by wikipedia 한국어 위키백과

수염오목눈이(학명: Panurus biarmicus, Bearded Reedling)는 참새목에 속하는 의 일종이다. 암수의 모양이 서로 다른 성적이형의 특징을 보인다. 수염오목눈이과(Panuridae), 수염오목눈이속(Panurus)의 유일종이다.

분포

영국과 남유럽 그리고 동유럽에서 우수리 강 상류에 이르는 유라시아 대륙의 중위도 지역에 국지적으로 분포한다. 서식지에서는 기본적으로는 텃새성이 강하며 이동은 거의 하지 않는다. 한국에서는 길 잃은 새로, 1996년 2월 강원도 청초호 갈대밭에서 수컷 1개체가 관찰된 이후 2006년 5월 전남 대흑산도에서 관찰된 바 있다.[2]

계통 분류

다음은 2019년 올리버로스(Oliveros) 등의 연구에 의한 흰턱딱새소목의 계통 분류이다.[4]

흰턱딱새소목    

힐리오타과

   

요정솔딱새과

         

박새과

   

스윈호오목눈이과

         

수염오목눈이과

   

종다리과

       

니카토르과

     

아프리카솔새과

     

개개비사촌과

    섬개개비상과    

그라우어솔새과

   

개개비과

       

섬개개비과

     

도나코비우스과

   

마다가스카르솔새과

             

프노이피가과

   

제비과

      흰턱딱새상과

직박구리과

     

흰턱딱새과

     

동박새과

     

꼬리치레과

     

상사조과

   

땅꼬리치레과

            오목눈이상과

솔새과

     

힐리아과

     

오목눈이과

   

Scotocercidae

                         

각주

  1. Gill, F and D Donsker (Eds) (2011). “Waxwings to Swallows”. 《IOC World Bird Names (version 2.9)》. 2011년 7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8월 20일에 확인함.
  2. “수염오목눈이”. 조류도감-한국의 새. 2014년 7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7월 13일에 확인함.
  3. BirdLife International (2012). Panurus biarmicus. 《멸종 위기 종의 IUCN 적색 목록. 2013.2판》 (영어). 국제 자연 보전 연맹. 2013년 11월 26일에 확인함.
  4. Oliveros, C.H.; 외. (2019). “Earth history and the passerine superradiation”.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116 (16): 7916–7925. doi:10.1073/pnas.1813206116. PMC 6475423. PMID 30936315.
license
cc-by-sa-3.0
copyright
Wikipedia 작가 및 편집자

수염오목눈이: Brief Summary ( Korean )

provided by wikipedia 한국어 위키백과

수염오목눈이(학명: Panurus biarmicus, Bearded Reedling)는 참새목에 속하는 의 일종이다. 암수의 모양이 서로 다른 성적이형의 특징을 보인다. 수염오목눈이과(Panuridae), 수염오목눈이속(Panurus)의 유일종이다.

license
cc-by-sa-3.0
copyright
Wikipedia 작가 및 편집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