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simg

수각류 ( coréen )

fourni par wikipedia 한국어 위키백과

수각류(獸脚類)는 이족 보행을 한 용반류 공룡을 말한다. 거의 대부분 육식이었으나 일부는 백악기에 초식으로 진화한 것으로 보인다. 수각류는 트라이아스기 말(약 2억 3140만 년 전)에 처음으로 출현해 쥐라기 초부터 백악기 말(약 6600만 년 전)까지 유일한 육식 공룡이었다. 거의 대부분 백악기-제3기 절멸 사건에 절멸했으나 일부는 로 살아남았다.

수각류의 특징은 발가락이 세 개라는 점과 차골, 속이 빈 뼈, (일부 수각류의 경우) 깃털을 가진 점과 알을 낳는다는 점 등이 있다.

수각류의 종류는 매우 다양하다. 이 중에는 주로 어류를 먹었을 것으로 생각되는 스피노사우루스나 그 친척, 잡식성으로 오늘날의 타조처럼 빠르게 달릴 수 있도록 진화한 오르니토미무스 같은 공룡, 몸길이가 30cm정도밖에 되지 않는 벌레를 잡아먹고 사는 아주 작은 수각류, 몸길이가 15m 혹은 그 이상인 거대한 포식자도 있다. 물론 조류까지 포함시키면 더욱 다양해진다. 조류를 포함하면 수각류 중에 가장 작은 종류는 5.5cm의 길이를 가진 벌새이다.

1881년 오스닐 찰스 마시(Othniel Charles Marsh)에 의해 처음으로 수각류(Theropoda)라고 불린다. 그는 처음에 수각류를 단지 알로사우루스나 그 친척을 이르는 말로 사용하였으나, 갈수록 더 많은 분류군들이 이 군에 속하게 되었고, 오늘은 악어와같은 파충류, 조류를 포함해 아주 넓은 범위로 사용된다.

하위 분류

Holtz(2008)에 의한 분류.

수각류 (Theropoda)

분기도

2017년에 발행된 논문에서 주요 그룹만을 나타낸 분기도이다.

수각류

헤레라사우루스과 Herrerasaurus ischigualastensis Illustration.jpg

     

에오랍토르 Eoraptor resto. 01.png

신수각류    

코엘로피시스상과 Coelophysis size flipped.jpg

   

딜로포사우루스과 Dilophosaurus wetherilli (flipped).PNG

    조문류케라토사우리아

케라토사우루스과 Ceratosaurus nasicornis DB.jpg

   

아벨리사우루스상과 Carnotaurus 2017.png

    테타누라

메갈로사우루스상과 Spinosaurus aegyptiacus.png Torvosaurus tanner DBi.jpg

조수각류

알로사우루스상과 Allosaurus Revised.jpg

코엘루로사우리아

스키우루미무스

티라노랍토라

티라노사우루스상과 Daspletosaurus torosus steveoc flipped.jpg

   

콤프소그나투스과 Compsognathus BW.jpg

   

마니랍토리포르메스 Therizinosaurus.png Archaeopteryx 01.JPG 201702 chicken white leghorn.svg

                 

몸구조

left 수각류 몸구조

외부 링크

  •  src=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title=
licence
cc-by-sa-3.0
droit d’auteur
Wikipedia 작가 및 편집자

수각류: Brief Summary ( coréen )

fourni par wikipedia 한국어 위키백과

수각류(獸脚類)는 이족 보행을 한 용반류 공룡을 말한다. 거의 대부분 육식이었으나 일부는 백악기에 초식으로 진화한 것으로 보인다. 수각류는 트라이아스기 말(약 2억 3140만 년 전)에 처음으로 출현해 쥐라기 초부터 백악기 말(약 6600만 년 전)까지 유일한 육식 공룡이었다. 거의 대부분 백악기-제3기 절멸 사건에 절멸했으나 일부는 로 살아남았다.

수각류의 특징은 발가락이 세 개라는 점과 차골, 속이 빈 뼈, (일부 수각류의 경우) 깃털을 가진 점과 알을 낳는다는 점 등이 있다.

수각류의 종류는 매우 다양하다. 이 중에는 주로 어류를 먹었을 것으로 생각되는 스피노사우루스나 그 친척, 잡식성으로 오늘날의 타조처럼 빠르게 달릴 수 있도록 진화한 오르니토미무스 같은 공룡, 몸길이가 30cm정도밖에 되지 않는 벌레를 잡아먹고 사는 아주 작은 수각류, 몸길이가 15m 혹은 그 이상인 거대한 포식자도 있다. 물론 조류까지 포함시키면 더욱 다양해진다. 조류를 포함하면 수각류 중에 가장 작은 종류는 5.5cm의 길이를 가진 벌새이다.

1881년 오스닐 찰스 마시(Othniel Charles Marsh)에 의해 처음으로 수각류(Theropoda)라고 불린다. 그는 처음에 수각류를 단지 알로사우루스나 그 친척을 이르는 말로 사용하였으나, 갈수록 더 많은 분류군들이 이 군에 속하게 되었고, 오늘은 악어와같은 파충류, 조류를 포함해 아주 넓은 범위로 사용된다.

licence
cc-by-sa-3.0
droit d’auteur
Wikipedia 작가 및 편집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