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simg

오소리 ( Korean )

provided by wikipedia 한국어 위키백과

오소리 또는 아시아오소리(영어: Asian badger 또는 sand badger) 또는 중국오소리(Meles leucurus)는 중국카자흐스탄 그리고 한반도러시아에서 발견되는 오소리속 포유류의 일종이다.[3]

특징

몸의 털 색깔은 유럽오소리보다 밝은 편이며, 거칠고 전체적으로 어두운 회색을 띤다. 머리와 몸통의 길이 500-800mm, 꼬리의 길이 110-190mm, 귀의 길이 34-39mm, 뒷발의 길이는 57-91mm이다.[4] 서울시 보호 야생 생물 대상종이다.[5] 목은 굵으며 몸이 긴 편이다. 대부분의 개체는 겨울에 짝짓기를 하여 봄에 출산을 한다. 후각은 발달해 있으나 시력이 좋지 않다. 주로 를 잡아먹는다.[6]

생활

  • 주로 낮에는 굴 속에서 휴식을 취하며 어두워지면 밖으로 나와 활동한다.
  • 덤불을 좋아해 덤불 속에서 쉬기도 한다.
  • 여름에는 못이나 덤불에서 살면서 수영을 좋아해 물에 잘 들어간다.
  • 겨울잠은 12∼3월까지이고, 한 번 들어가면 봄에 나올 때까지 그대로 있는다.

아종

5종의 아종이 알려져 있다.[7]

각주

  1. “Meles leucurus”. 《멸종 위기 종의 IUCN 적색 목록. 2009.1판》 (영어). 국제 자연 보전 연맹. 2008. 2009년 8월 16일에 확인함.
  2. Wilson, Don E.; Reeder, DeeAnn M., 편집. (2005).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3rd ed)》.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09년 8월 16일에 확인함.
  3. Koepfli, Klaus-Peter; Deere, K.A.; Slater, G.J.; Begg, C.; Begg, K.; Grassman, L.; Lucherini, M.; Veron, G.; Wayne, R.K. (February 2008). “Multigene phylogeny of the Mustelidae: Resolving relationships, tempo and biogeographic history of a mammalian adaptive radiation”. 《BMC Biology》 6: 10. doi:10.1186/1741-7007-6-10. PMC 2276185. PMID 18275614.
  4. 국립생물자원관. “한국의 멸종위기종 오소리”. 2016년 3월 6일에 확인함.[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5. “서울시 보호 야생 생물 지정,관리”. 2015년 1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7월 30일에 확인함.
  6. “오소리”. 2021년 4월 24일에 확인함.
  7. Wozencraft, W.C. (2005). 〈Order Carnivora〉 [식육목]. Wilson, D.E.; Reeder, D.M.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영어) 3판. 존스 홉킨스 대학교 출판사. ISBN 978-0-8018-8221-0. OCLC 62265494.
 title=
license
cc-by-sa-3.0
copyright
Wikipedia 작가 및 편집자

오소리: Brief Summary ( Korean )

provided by wikipedia 한국어 위키백과

오소리 또는 아시아오소리(영어: Asian badger 또는 sand badger) 또는 중국오소리(Meles leucurus)는 중국카자흐스탄 그리고 한반도러시아에서 발견되는 오소리속 포유류의 일종이다.

license
cc-by-sa-3.0
copyright
Wikipedia 작가 및 편집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