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simg

고산족제비 ( Korean )

provided by wikipedia 한국어 위키백과

고산족제비 또는 알타이족제비(Mustela altaica)는 족제비과에 속하는 포유류의 일종이다.[2] 주로 고산 지대 환경에서 살지만, 바위가 많은 툰드라 지역과 풀이 무성한 소림과 같은 지역에서도 발견된다.[3] 고산족제비는 바위 틈과 나무 줄기 그리고 다른 동물이 사용하고 버린 굴 또는 이전에 사냥한 동물의 굴 등에서 산다. 지리적 분포는 아시아 지역의 카자흐스탄티베트 그리고 히말라야 산맥, 몽골, 중국 북동부, 시베리아 남부이고, 러시아 일부 지역에서도 발견된다. 그러나 고산 족제비가 가장 흔한 지역은 인도 라다크 지역이다.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은 이 종의 개체수가 현저하게 감소하고 있다고 간주하여 보전 등급을 취약근접종(NT, near threatened species)으로 지정하여 분류하고 있다.

계통 분류

다음은 족제비아과의 계통 분류이다.[2][4]

족제비아과    

아메리카밍크

   

긴꼬리족제비

         

등줄무늬족제비

   

말레이시아족제비

       

북방족제비

       

쇠족제비

   

고산족제비

       

족제비

     

유럽밍크

     

검은발족제비

     

긴털족제비

   

스텝긴털족제비

                 

각주

  1. “Mustela altaica”. 《멸종 위기 종의 IUCN 적색 목록. 2008판》 (영어). 국제 자연 보전 연맹. 2008. 2009년 3월 21일에 확인함. Database entry includes a brief justification of why this species is of near threatened
  2. Koepfli, Klaus-Peter; Deere, K.A.; Slater, G.J.; Begg, C.; Begg, K.; Grassman, L.; Lucherini, M.; Veron, G.; Wayne, R.K. (February 2008). “Multigene phylogeny of the Mustelidae: Resolving relationships, tempo and biogeographic history of a mammalian adaptive radiation”. 《BMC Biology》 6: 10. doi:10.1186/1741-7007-6-10. PMC 2276185. PMID 18275614.
  3. Allen,G.M. (1938). “Mammals of China and Mongolia”. 《American Museum of Natural History》 1.
  4. Bininda-Emonds OR; Gittleman JL; Purvis A (1999). “Building large trees by combining phylogenetic information: a complete phylogeny of the extant Carnivora (Mammalia)”. 《Biol Rev Camb Philos Soc》 74 (2): 143–75. doi:10.1017/S0006323199005307. PMID 10396181.
 title=
license
cc-by-sa-3.0
copyright
Wikipedia 작가 및 편집자

고산족제비: Brief Summary ( Korean )

provided by wikipedia 한국어 위키백과

고산족제비 또는 알타이족제비(Mustela altaica)는 족제비과에 속하는 포유류의 일종이다. 주로 고산 지대 환경에서 살지만, 바위가 많은 툰드라 지역과 풀이 무성한 소림과 같은 지역에서도 발견된다. 고산족제비는 바위 틈과 나무 줄기 그리고 다른 동물이 사용하고 버린 굴 또는 이전에 사냥한 동물의 굴 등에서 산다. 지리적 분포는 아시아 지역의 카자흐스탄티베트 그리고 히말라야 산맥, 몽골, 중국 북동부, 시베리아 남부이고, 러시아 일부 지역에서도 발견된다. 그러나 고산 족제비가 가장 흔한 지역은 인도 라다크 지역이다.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은 이 종의 개체수가 현저하게 감소하고 있다고 간주하여 보전 등급을 취약근접종(NT, near threatened species)으로 지정하여 분류하고 있다.

license
cc-by-sa-3.0
copyright
Wikipedia 작가 및 편집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