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롱편모조식물 또는 오크로피타(Ochrophyta)는 부등편모조류 분류의 일종이다.[1] 대롱편모조식물문 또는 오크라피타문으로 분류하기도 한다.[2]
대부분 광합성을 한다.[3]
하위 분류
- 카키스타류 또는 카키스타아문 (Khakista)
-
돌말강 (Bacillariophyceae)
-
볼리도조강 (Bolidophyceae)
- 파에이스타류 또는 파에이스타아문 (Phaeista)
- 마리스타류 또는 마리스타하문 (Marista)
- 푸키스티아류 또는 푸키스티아상강 (Fucistia)
- 크리소메리스류 또는 크리소메리스강 (Chrysomerophyceae)
-
갈조류 또는 갈조강 (Phaeophyceae)
-
파이오탐니오조류 또는 파이오탐니오조강 (Phaeothamniophyceae)
- 스키조클라디아류 또는 스키조클라디아강 (Schizocladiophyceae)
-
황록조류 또는 황록조강 (Xanthophyceae)
- 히포기리스테아류 또는 히포기리스테아상강 (Hypogyristea)
-
규질편모조강 (Actihrysophyceae 또는 Dictyochophyceae)
-
펠라고조강 (Pelagophyceae)
- 라피도이스티아류 또는 라피도조상강 (Raphidoistia)
-
핀귀오조류 또는 핀귀오조강 (Pinguiophyceae)
-
침편모조류/라피도조류 또는 침편모조강/라피도조강 (Raphidophyceae)
- 림니스타류 또는 림니스타하문 (Limnista)
-
황조류 또는 황조강 (Chrysophyceae)
-
진안점조류 또는 진안점조강 (Eustigmatophyceae)
- 신크로마류 또는 신크로마강 (Synchromophyceae)
- 피코파구스류 또는 피코파구스강 (Picophagea/Picophagophyceae)
- 기타
-
시누라조류 또는 시누라조강 (Synurophyceae)
계통 분류
다음은 부등편모조류의 계통 분류이다.[4][5][6]
부등편모조류 플라티술쿠스강
사게니스타류 Eogyrea
망형충류
비코소에카류
플라시디아류 플라시디아강
나노모나스강
오팔로모나스강
오팔리나상강 블라스토키스티스강
오팔리나강
기리스타류
비기로모나드강
난균류
역모균류
피르소니아강
대롱편모조식물
다음은 대롱편모조식물의 계통 분류이다.[7][8]
대롱편모조식물 카키스타류
볼리도조류
돌말류
파에이스타류 Hypogyrista
규질편모조류
펠라고조류
Chrysista Eustigmista
핀귀오조류
진안점조류
Phagochrysia
피코파구스강
신크로마강
Leukarachnion
황조류
Xanthophytina
침편모조류
갈조류
크리소메리스강
파이오탐니오조류
황록조류
각주
-
↑ Riisberg I, Orr RJ, Kluge R; 외. (2009년 5월). “Seven gene phylogeny of heterokonts”. 《Protist》 160 (2): 191–204. doi:10.1016/j.protis.2008.11.004. PMID 19213601.
-
↑ Guiry, M.D.; Guiry, G.M. (2013). “Ochrophyta”. 《AlgaeBase》. World-wide electronic publication, National University of Ireland, Galway. 2019년 9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 Cavalier-Smith T, Chao EE (2006년 4월). “Phylogeny and megasystematics of phagotrophic heterokonts (kingdom Chromista)”. 《J. Mol. Evol.》 62 (4): 388–420. doi:10.1007/s00239-004-0353-8. ISBN 0023900403538
|isbn=
값 확인 필요: invalid prefix (도움말). PMID 16557340. -
↑ Ruggiero; 외. (2015). “Higher Level Classification of All Living Organisms”. 《PLoS ONE》 10 (4): e0119248. Bibcode:2015PLoSO..1019248R. doi:10.1371/journal.pone.0119248. PMC 4418965. PMID 25923521.
-
↑ Silar, Philippe (2016). “Protistes Eucaryotes: Origine, Evolution et Biologie des Microbes Eucaryotes”. 《HAL Archives-ouvertes》: 1–462.
-
↑ Cavalier-Smith, Thomas; Scoble, Josephine Margaret (2013). “Phylogeny of Heterokonta: Incisomonas marina, a uniciliate gliding opalozoan related to Solenicola (Nanomonadea), and evidence that Actinophryida evolved from raphidophytes”. 《European Journal of Protistology》 49 (3): 328–353. doi:10.1016/j.ejop.2012.09.002. PMID 23219323.
-
↑ Ruggiero; 외. (2015). “Higher Level Classification of All Living Organisms”. 《PLoS ONE》 10 (4): e0119248. doi:10.1371/journal.pone.0119248. PMC 4418965. PMID 25923521.
-
↑ Silar, Philippe (2016). “Protistes Eucaryotes: Origine, Evolution et Biologie des Microbes Eucaryotes”. 《HAL Archives-ouvertes》: 1–4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