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simg

수리부엉이 ( Corean )

fornì da wikipedia 한국어 위키백과

 src=
Bubo bubo bubo

수리부엉이(영어: Eurasian eagle-owl 또는 eagle-owl)는 올빼미목 올빼미과맹금류로, 사냥의 명수로 꼽힌다. 몸길이 70cm로 부엉이 중에서 제일 사나우며, 멧집이 큰 편이다. 나무구멍집속에 , 토끼, , 등의 먹이들을 저장하기 때문에 예로부터 부자새로 불렸다고 한다. 서양에서는 '지혜의 상징'이라고 하였으며, 반면 동양에서는 고양이 얼굴을 닮은 매라고 하여 '묘두응(猫頭鷹)'이라고 불렀다. 대한민국멸종위기종 2급·천연기념물 324-2호로 지정되어 보호를 받고 있다. 학명은 Bubo bubo.

개요

이름 유래

  • 우리 조상들이 흔히 부엉이라고 부르던 것이 바로 야행성 올빼미과 맹금류인 수리부엉이다. 수리처럼 크고 용맹해서 생물학계에서 수리부엉이라고 부르게 되었는데, 아마도 과거에 원로 학자들이 우리말로 새의 이름을 정할 때는 항상 일본 이름인 와시미미즈쿠(ワシミミズク)와 영어 이름(Eurasian eagle owl)을 참고해 지은 것으로 여겨진다고 한다. 일본어로 수리를 뜻하는 말이 와시(ワシ)이고 영어로는 이글(eagle)이기 때문이다. 수리부엉이를 뜻하는 한자의 이름도 많다고 한다. 우선에는 먼저 각치(角鴟)나 목토(木兎)처럼 뿔(角)이나 토끼(兎)라는 뜻이 들어간 것은 바로 수리부엉이의 머리 양쪽에 솟아 있는 귀깃 때문에 붙은 이름이라고 한다. 그리고 야묘(夜猫), 야묘자(夜猫子), 묘아(猫兒), 묘아두(猫兒頭), 묘두(猫頭), 묘두응(猫頭鷹) 등 고양이(猫)와 관련된 별명이 여럿이나 있다고 한다. 그러나 맹금류인 수리부엉이의 별명 중의 '야묘(夜猫)'라는 뜻은 주로 '밤(夜) 고양이(猫)'라는 뜻으로 특히 수리부엉이의 얼굴과 눈이 마치 고양이(猫)와 닮았고, 주로 밤(夜)에 활동하면서 고양이(猫)처럼 쥐를 잘 잡아먹기 때문에 붙은 별명이다. 그래서 수리부엉이는 고양이(猫)를 닮은 새(鳥), 조류계의 고양이(猫)라고 불린다. 그 외에도 치휴(鴟鵂), 치효(鴟梟), 휴류(鵂鶹), 모치(茅鴟) 등으로도 불린다.

대한민국

  • 올빼미와 부엉이류는 오염된 먹이로 인해서 생존에 위협을 받고 있으며 번식지를 비롯한 월동지와 서식지의 파괴, 쥐약 투약과 쥐약 중독 및 인간에 의한 마구잡이 등의 원인으로 나날이 그 수가 감소하고 있다. 올빼미와 부엉이류는 국제적으로 보호되고 있는 새들로서 대한민국에서도 10종 중 7종을 천연기념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 2018년 10월 31일 문화재청수리부엉이에 대한 천연기념물(동물) 현상변경 허가권한(죽은 것에 대한 매장 또는 소각하는 행위의 허가 및 그 취소)을 특별자치시장, 특별자치도지사, 시장·군수·구청장에게 위임하였다.[3]
  •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에 속해 있다.

미디어

같이 보기

각주

licensa
cc-by-sa-3.0
drit d'autor
Wikipedia 작가 및 편집자

수리부엉이: Brief Summary ( Corean )

fornì da wikipedia 한국어 위키백과
 src= Bubo bubo bubo

수리부엉이(영어: Eurasian eagle-owl 또는 eagle-owl)는 올빼미목 올빼미과맹금류로, 사냥의 명수로 꼽힌다. 몸길이 70cm로 부엉이 중에서 제일 사나우며, 멧집이 큰 편이다. 나무구멍집속에 , 토끼, , 등의 먹이들을 저장하기 때문에 예로부터 부자새로 불렸다고 한다. 서양에서는 '지혜의 상징'이라고 하였으며, 반면 동양에서는 고양이 얼굴을 닮은 매라고 하여 '묘두응(猫頭鷹)'이라고 불렀다. 대한민국멸종위기종 2급·천연기념물 324-2호로 지정되어 보호를 받고 있다. 학명은 Bubo bubo.

licensa
cc-by-sa-3.0
drit d'autor
Wikipedia 작가 및 편집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