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Setaria italica)는 벼과의 한해살이풀로 오래된 작물 중 하나이다.
역사
조의 원종은 강아지풀(Setaria viridis)로 밝혀져 있다. 조와 강아지풀은 서로 교배 가능하며, 유전체 검사로도 원종이라는 것이 확인된다.[1]
조를 처음으로 재배한 흔적은 페이리강 문화와 츠산 문화(기원전 6500년 ~ 기원전 5500년)[2]에서 발견됐다. 하지만 조가 주식이 된 것은 양사오 문화(기원전 5000년 ~ 기원전 3000년) 전후이다.[3] 이후 벼가 널리 보급되기 전까지 회수 이북 지방에서는 조는 기장과 함께 주식이었다.
조가 동쪽으로 전파된 흔적으로는 연해주 Krounovka 1 발굴지에서 발굴된 기원전 3620~3370년경의 유물,[1][4] 부산 동삼동 패총에서 발굴된 기원전 3360년경의 유물,[1][5] 홋카이도 우스지리(臼尻)에서 발굴된 기원전 2000년경의 유물 등이 있다.
남쪽으로는 티벳 카뤄 문화의 유물(기원전 3000년경),[6] 타이완섬 다펀컹 문화의 유물(기원전 2800년경),[7] 등이 있다.
유럽에는 기원전 2000년경 유적에 탄화된 씨앗이 발견된다.
이름
한국어 ‘조’의 옛 형태가 기록된 가장 오래된 문헌은 《두시언해》(1481)의 시에 실린 ‘좋’이다. 이것이 발음 변화를 거쳐 ‘조’가 되었다.
‘좁쌀’은 그 크기에 빗대어 작고 좀스러운 사람이나 물건을 뜻하기도 한다.
경작
중앙 아시아·인도·자바·중국 등지에서 널리 경작된다.
보통 5월 무렵 이삭이 패기 전에 이랑 사이에 씨를 뿌려서 어느 정도 자랐을 때 이삭을 수확하고 나면 햇빛을 잘 받으면서 쑥쑥 자라 가을에는 높이가 약 1-2m에 이른다. 길고 가느다란 잎은 어긋나며, 잎 가장자리에는 작은 톱니가 있다. 9월 무렵에 길이 15-20cm인 원기둥 모양의 이삭이 익으면 수확한다. 찧어 껍질을 벗겨 좁쌀로 만든다.
생육 기간이 짧고 건조에도 매우 강하므로 척박한 땅에서도 잘 되며, 흉년이 들었을 때 주식으로 할 수 있는 작물이다. 보통 조라고 부르는 열매는 작고 둥글며 노란색을 띤다. 껍질을 벗긴 좁쌀은 노란색을 띠며, 녹말·단백질·지방이 들어 있다. 옛날에는 주로 밥을 지어 먹었다. 한때 중요한 구황작물이었으며, 떡·엿·술을 만드는 원료로도 쓰였다.
각주
-
↑ 가 나 다 Diao, Xianmin; Jia, Guanqing (2017). 〈Origin and Domestication of Foxtail Millet〉. Doust, Andrew; Xianmin Diao. 《Genetics and Genomics of Setaria》. Plant Genetics and Genomics: Crops and Models 19. 61–72쪽. doi:10.1007/978-3-319-45105-3_4. ISBN 978-3-319-45103-9. ISSN 2363-9601.
-
↑ Stevens, C. J.; Murphy, C.; Roberts, R.; Lucas, L.; Silva, F.; Fuller, D. Q. (2016). “Between China and South Asia: A Middle Asian corridor of crop dispersal and agricultural innovation in the Bronze Age”. 《The Holocene》 26 (10): 1541–1555. Bibcode:2016Holoc..26.1541S. doi:10.1177/0959683616650268. ISSN 0959-6836. PMC 5125436. PMID 27942165.
-
↑ Daniel Zohary and Maria Hopf, Domestication of plants in the Old World, third edi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000), p. 86-88
-
↑ Kuzmin, Yaroslav V. (2013). “The beginnings of prehistoric agriculture in the Russian Far East: Current evidence and concepts”. 《Documenta Praehistorica》 40: 1–12. doi:10.4312/dp.40.1.
-
↑ Crawford, Gary W.; Lee, Gyoung-Ah (2015). “Agricultural origins in the Korean Peninsula”. 《Antiquity》 77 (295): 87–95. doi:10.1017/S0003598X00061378. ISSN 0003-598X.
-
↑ Castillo, Cristina (2010). 〈Still too fragmentary and dependent upon chance? Advances in the study of early Southeast Asian archaeobotany〉. Bellina, Bérénice. 《50 Years of Archaeology in Southeast Asia》. ISBN 978-6167339023.
-
↑ Bellwood, Peter (2011). “The Checkered Prehistory of Rice Movement Southwards as a Domesticated Cereal—from the Yangzi to the Equator”. 《Rice》 4 (93): 93–103. doi:10.1007/s12284-011-906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