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simg

양비둘기 ( Korean )

provided by wikipedia 한국어 위키백과

낭비둘기(Columba rupestris)는 친척종인 바위비둘기의 친척종이다. 이들은 한반도 및 그 주변지역인 연해주, 중국, 시베리아, 몽골, 타지키스탄, 티베트 중부, 히말라야, 아프가니스탄, 투르크메니스탄 등에 분포하고 있다.[2] 대한민국에서는 매우 희귀한 텃새이다.[3] 원래 흔한 텃새였으나 외래종인 집비둘기의 유입으로 인해 번식지경쟁에서 밀려나고 여러 잡종들의 탄생으로 인해 매우 희귀해졌다.[4]집비둘기와 비슷하게 생겨서 외래종으로 오해를 받아 외래종이라는 뜻인 양이 붙은 양비둘기라는 잘못된 이름으로 많이 불린다. 이는 새에 대해 잘 아는 사람들도 잘 실수하는 부분이며 낭비둘기 또는 굴비둘기가 맞는 이름이다. 속리산 법주사와 임진각 등 다른 곳의 내륙의 집단은 자취를 감춘지 오래고 1995년까지 30여 개체가 서식했던 전남 청산도를 비롯해 도서 지역의 집단도 거의 사라졌다.[2]

형태

머리, 얼굴, 턱밑은 짙은 회색이고 뒷목과 가슴은 광택이 있는 녹색이다. 어깨, 날개덮깃, 가슴 아랫부분은 회색이다. 허리는 순백색이고 날개에는 두 줄의 폭 넓은 검은색 띠가 있고, 꼬리 끝에는 흰색 무늬가 뚜렷이 있다.[5] 부리는 검고 눈은 적색, 눈동자는 검은색이며 다리는 붉다.[6]

생활권

해안의 절벽, 도서지역, 교외의 콘크리트 교각, 내륙 산악 등이다.

분포권

한반도, 연해주, 중국, 시베리아, 몽골, 타지키스탄, 티베트 중부, 히말라야, 아프카니스탄, 투르크메니스탄 등에 분포하고 있다.[2]

먹이

농경지 곡식의 낟알, 곡물 등이다.

각주

  1. Columba rupestris. 《멸종 위기 종의 IUCN 적색 목록》 (영어) (IUCN) 2016: e.T14144A4408913. 2016.
  2. 윤순영 (2020년 7월 17일). “100마리 남은 토종 ‘양비둘기’를 만나다”. 한겨레. 2021년 5월 14일에 확인함.
  3. 원병오; 김화정 (2012년 3월 20일). 《한반도의 조류》. 아카데미서적. ISBN 9788976164773.
  4. 김화정; 박진영; 강승구; 김동원; 오미래; 이기섭; 여용구; 이진원 (2016). 《멸종위기 양비둘기 보전 및 증식·복원 연구 (3차년도)》. 국립생물자원관. 2쪽.
  5. “멸종위기의 텃새 양비둘기”. 환경부. 2쪽. 2021년 5월 14일에 확인함.
  6. 송순창; 송순광 (2005년 3월 7일). 《세밀화로 보는 한반도 조류도감》. 김영사. ISBN 9788934917137.
Heckert GNU white.svgCc.logo.circle.svg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title=
license
cc-by-sa-3.0
copyright
Wikipedia 작가 및 편집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