뿔이끼류는 각태식물문 또는 뿔이끼문에 속하는 뿔이끼의 총칭이다. 레이오스포로케로스강(Leiosporocerotopsida)과 뿔이끼강(Anthocerotopsida)에 약 50여 종으로 이루어져 있다.[1]
특징
뿔이끼 배우체는 잎 모양으로 기어나가며, 원사체 및 헛뿌리는 선류와 같다. 엽상체의 세포는 1개 또는 몇 개의 큰 엽록체를 가지고 있지만, 지방 입자와 선모는 존재하지 않는다. 포자체는 밑부분에 분열 조직이 있어서 생장을 계속하는데, 매우 튼튼하며 포자를 살포하면서 끝에서부터 말라죽는다. 꼬투리자루는 없고 꼬투리에는 기둥축과 기공은 있으나, 선개·연치는 없다. 포자는 꼬투리벽이 비틀어지거나 탄사 또는 헛탄사의 운동에 의해서 방출된다. 헛탄사는 탄사와 달리 몇 개의 세포로 이루어져 있으며, 세포막에는 나선 모양의 비후가 없다.
하위 분류
-
레이오스포로케로스강 (Leiosporocerotopsida)
-
각태식물강 또는 뿔이끼강(Anthocerotopsida)
계통 분류
다음은 유배식물의 계통 분류이다.[2][3][4][5][6][7][8]
유배식물 선태식물 뿔이끼문
선태식물문
우산이끼문
다포자낭식물
?† Taeniocradales
† 호르네오피톤강
† Aglaophyton
관다발식물 ?† Yarraviales
† Rhyniopsida
Eutracheophytes
?† Cooksoniales
?† Renaliaceae
석송문
진엽식물 † Eophyllophyton
† Trimerophytopsida
Moniliformopses
양치류
Radiatopses
† Pertica
목질식물
?† Cecropsidales
?† Noeggerathiopsida
† Aneurophytopsida
Metalignophytes
† 고양치류
† Protopityales
종자식물
각주
-
↑ Roskov Y., Kunze T., Orrell T., Abucay L., Paglinawan L., Culham A., Bailly N., Kirk P., Bourgoin T., Baillargeon G., Decock W., De Wever A., Didžiulis V. (ed) (2014). “Species 2000 & ITIS Catalogue of Life: 2014 Annual Checklist.”. Species 2000: Reading, UK. 2015년 9월 24일에 확인함. CS1 관리 - 여러 이름 (링크)
-
↑ Novíkov & Barabaš-Krasni (2015). “Modern plant systematics”. Liga-Pres: 685. doi:10.13140/RG.2.1.4745.6164. ISBN 978-966-397-276-3.
-
↑ Anderson, Anderson & Cleal (2007). “Brief history of the gymnosperms: classification, biodiversity, phytogeography and ecology”. 《Strelitzia》 (SANBI) 20: 280. ISBN 978-1-919976-39-6.
-
↑ Pelletier (2012). “Empire biota: taxonomy and evolution 2nd ed”. Lulu.com: 354. ISBN 1329874005.
-
↑ Lecointre, Guillaume; Guyader, Hervé Le (2006). 《The Tree of Life: A Phylogenetic Classification》 (영어). Harvard University Press. ISBN 9780674021839.
-
↑ Puttick, Mark N.; Morris, Jennifer L.; Williams, Tom A.; Cox, Cymon J.; Edwards, Dianne; Kenrick, Paul; Pressel, Silvia; Wellman, Charles H.; Schneider, Harald (2018). “The Interrelationships of Land Plants and the Nature of the Ancestral Embryophyte”. 《Current Biology》 28 (5): 733–745.e2. doi:10.1016/j.cub.2018.01.063.
-
↑ Nishiyama, Tomoaki; Wolf, Paul G.; Kugita, Masanori; Sinclair, Robert B.; Sugita, Mamoru; Sugiura, Chika; Wakasugi, Tatsuya; Yamada, Kyoji; Yoshinaga, Koichi (2004년 10월 1일). “Chloroplast Phylogeny Indicates that Bryophytes Are Monophyletic”. 《Molecular Biology and Evolution》 (영어) 21 (10): 1813–1819. doi:10.1093/molbev/msh203. ISSN 0737-4038.
-
↑ Gitzendanner, Matthew A.; Soltis, Pamela S.; Wong, Gane K.-S.; Ruhfel, Brad R.; Soltis, Douglas E. (2018). “Plastid phylogenomic analysis of green plants: A billion years of evolutionary history”. 《American Journal of Botany》 (영어) 105 (3): 291–301. doi:10.1002/ajb2.1048. ISSN 0002-9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