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simg

무화과나무 ( Korean )

provided by wikipedia 한국어 위키백과

 src=
무화과열매

무화과나무(無花果-)는 뽕나무과에 속하는 나무이다. 아라비아 서부 및 지중해 연안 원산의 낙엽이 지는 활엽관목으로서, 뽕나무과 낙엽활엽관목으로 우리나라에서는 남부에서 재배한다. 높이는 3m가량이다. 열매는 무화과이다.

외관

잎은 크고 보통 손가락 모양으로 갈라져 있다. 봄에서 여름에 걸친 시기에 엷은 홍색의 꽃이 핀다. 무화과나무의 열매인 무화과는 꽃이 피지 않는 과실이라고 해서 무화과라고 하나 실제로 꽃은 과실 내에서 피며 외부로 나타나지 않을 뿐이다. 열매는 씨방이 큰 꽃받침 속에 형성되고 살이 많은 은화과이며 가을에 검은 자색으로 익는다.

효능

무화과는 단백질 분해효소인 피신이 함유되어 있어, 소화작용을 촉진시켜 주며, 펙틴이 풍부해 변비에 효과가 있다. 암 치료에 효과가 있는 벤즈알데히드를 함유하고 있는 점은 주목할 필요가 있다. 민간에서는 소화불량과 변비는 물론 설사와 각혈, 신경통, 빈혈, 부인병, 피부질환 등을 치료하는 데 활용한다.[1]

서식지

아라비아 서부 및 지중해 연안이 원산지로, 한국에서는 중·남부와 제주도에 분포하고 있다.

성경에서

성경에 등장하는 식물 중 하나다. 최초의 기록은 에덴 동산에 살았던 아담과 하와가 선악과를 따 먹고 난 후, 무화과나무 잎으로 옷을 지어 입은 일화에 나타나 있다.(창세기 3:7) 이스라엘을 상징하는 나무이기도 한데, 예수는 말세에 다시 올 때 일어날 징조로 무화과나무를 언급했다.(예레미야 24:5, 마태복음 24:32-33)

같이 보기

각주

  1. “[건강정보] 무화과 효능... 소화촉진·변비 개선·강장·암 치료&빈혈·부인병 개선”. 《미래한국》. 2018년 9월 18일. 2018년 11월 10일에 확인함.
  2. “Raw fig production in 2018; Crops/World Regions/Production Quantity from picklists”. UN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Corporate Statistical Database, FAOSTAT. 2019. 2020년 6월 7일에 확인함.
Heckert GNU white.svgCc.logo.circle.svg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title=
license
cc-by-sa-3.0
copyright
Wikipedia 작가 및 편집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