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simg

후추목 ( Korean )

provided by wikipedia 한국어 위키백과

후추목(--目, 학명: Piperales 피페랄레스[*])은 목련군이다.[1] 약모밀후추 등을 포함한다.

하위 분류

계통 분류

후추목의 구성과 계통은 다음과 같다. 목련군(Magnoliids)    

카넬라목(Canellales)

    후추목(Piperales)  

쥐방울덩굴과(Aristolochiaceae)

     

후추과(Piperaceae)

   

삼백초과(Saururaceae)

             

녹나무목(Laurales)

   

목련목(Magnoliales)

     

2016년 APG IV 분류 체계에서는 쥐방울덩굴과, 후추과, 삼백초과를 포함하는 후추목을 속씨식물군 목련군 아래에 분류하며,[2] 이는 2009년 APG III 분류 체계, 2003년 APG II 분류 체계 및 1998년 APG 분류 체계의 분류와 동일하다.[3][4][5] 다만 APG III 및 그 이전 분류 체계에서 후추목 아래에 분류되었던 락토리스과(Lactoridaceae), 족도리풀과(Asaraceae), 히드노라과(Hydnoraceae)가 APG IV 분류 체계에서는 쥐방울덩굴과에 병합되었다.[2][3][4][5]

1981년 크론퀴스트 분류 체계는 후추목을 목련문(Magnoliophyta[=속씨식물]) 목련강(Magnoliopsida[=쌍떡잎식물]) 목련아강(Magnoliidae) 아래에 분류했으며, 하위에 삼백초과(Saururaceae), 홀아비꽃대과(Chloranthaceae), 후추과(Piperaceae)를 두었다.[6]

1964년 엥글러 분류 체계는 후추목을 관상식물문(Siphonogamae[=종자식물]) 속씨식물아문(Angiospermae) 쌍떡잎식물강(Dicotyledoneae) 이판화아강(Archychlamydeae) 아래에 분류했으며, 하위에 락토리스과(Lactoridaceae), 삼백초과(Saururaceae), 홀아비꽃대과(Chloranthaceae), 후추과(Piperaceae)를 두었다.[7]

1935년 베트슈타인 분류 체계는 후추목을 속씨식물아문(Angiospermae) 쌍떡잎식물강(Dicotyledones) 이판화아강(Choripetalae) 무판화군(Monochlamydeae) 아래에 분류했으며, 하위에 후추과(Piperaceae)를 두었다.[8]

각주

  1. Berchtold, Bedřich Všemír von & Presl, Jan Svatopluk. O Prirozenosti Rostlin 261. 1820.
  2. Angiosperm Phylogeny Group; Byng, James W.; Chase, Mark W.; Christenhusz, Maarten J. M.; Fay, Michael F.; Judd, Walter S.; Mabberley, David J.; Sennikov, Alexander N.; Soltis, Douglas E.; Soltis, Pamela S.; Stevens, Peter F. (2016). “An update of the Angiosperm Phylogeny Group classification for the orders and families of flowering plants: APG IV” (PDF). 《Botanical Journal of the Linnean Society》 (영어) 181 (1): 1‒20. doi:10.1111/boj.12385.
  3. Angiosperm Phylogeny Group; Bremer, Birgitta; Bremer, Kåre; Chase, Mark W.; Fay, Michael F.; Reveal, James L.; Soltis, Douglas E.; Soltis, Pamela S.; Stevens, Peter F. (2009). “An update of the Angiosperm Phylogeny Group classification for the orders and families of flowering plants: APG III” (PDF). 《Botanical Journal of the Linnean Society》 (영어) 161 (2): 105‒121. doi:10.1111/j.1095-8339.2009.00996.x.
  4. Angiosperm Phylogeny Group; Bremer, Birgitta; Bremer, Kåre; Chase, Mark W.; Reveal, James L.; Soltis, Douglas E.; Soltis, Pamela S.; Stevens, Peter F. (2003). “An update of the Angiosperm Phylogeny Group classification for the orders and families of flowering plants: APG II” (PDF). 《Botanical Journal of the Linnean Society》 (영어) 141 (4): 399‒436. doi:10.1046/j.1095-8339.2003.t01-1-00158.x.
  5. Angiosperm Phylogeny Group; Bremer, Kåre; Chase, Mark W.; Stevens, Peter F. (1998). “An Ordinal Classification for the Families of Flowering Plants” (PDF). 《Annals of the Missouri Botanical Garden》 (영어) 85 (4): 531‒553. doi:10.2307/2992015.
  6. Cronquist, Arthur (1981). 《An Integrated System of Classification of Flowering Plants》 (영어).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ISBN 9780231038805.
  7. Engler, Adolf (1964). Melchior, Hans; Werdermann, Erich, 편집. 《Syllabus der Pflanzenfamilien》 (독일어). Berlin: Gebrüder Borntraeger Verlag.
  8. Wettstein, Richard, Ritter von Westersheim (1935). 《Handbuch der systematischen Botanik》 (독일어) 4판. Leipzig: Franz Deuticke.
 title=
license
cc-by-sa-3.0
copyright
Wikipedia 작가 및 편집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