밴쿠버섬마멋(Marmota vancouverensis)은 다람쥐과에 속하는 설치류의 일종이다. 태평양 북서부 밴쿠버섬 고지대 산악 지역에서만 발견된다. 특히 밴쿠버섬마멋은 일부 다른 마멋류와 대부분의 다른 설치류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크다. 마멋속은 다람쥐과에서 가장 큰 분류군으로 성체의 몸무게가 나이와 시간에 따라서 3~7kg으로 다양하다.[2]
밴쿠버 섬의 고유종이지만, 밴쿠버섬마멋은 현재 캐나다 전역의 여러 사육 번식 센터와 1990년대 동안에 현지에서 멸종된 밴쿠버 섬의 여러 곳에 성공적으로 살고 있다.[3][4] 이는 독특한 캐나다 종의 멸종 방지와 자립적인 야생 개체군 복원을 위해 고안된 지속적인 복원 프로그램의 결과이다.[5][6] 복원 프로그램의 노력 때문에 밴쿠버섬마멋은 야생에서 2003년의 30마리 이하에서 2015년 추산 250~300마리로 증가했다.[7]
계통 분류
다음은 2009년 헬겐(Helgen) 등의 연구에 기초한 계통 분류이다.[8]
마멋족 열대땅다람쥐속
영양다람쥐속
바위다람쥐속
황금망토땅다람쥐속
마멋속 우드척
고산마멋
노란배마멋
흰등마멋
올림픽마멋
밴쿠버섬마멋
알래스카마멋
멘즈비어마멋
긴꼬리마멋
알타이마멋
만주마멋
검은머리마멋
히말라야마멋
타르바간마멋
땅다람쥐속
작은땅다람쥐속
프랭클린땅다람쥐속
프레리도그속
피그미땅다람쥐속
전북구땅다람쥐속
각주
-
↑ “Marmota vancouverensis”. 《멸종 위기 종의 IUCN 적색 목록. 2013.2판》 (영어). 국제 자연 보전 연맹. 2013. 2014년 5월 9일에 확인함.
-
↑ Barash D.P. 1989. Marmots: social behavior and ecology. Stanford University Press, Stanford
-
↑ Aaltonen, K; A.A. Bryant; J.A. Hosetetler & M. K. Oli (2010). “Reintroducing endangered Vancouver Island marmots: Survival and cause-specific mortality rates of captive-born versus wild-born individuals” (PDF). 《Biological Conservation》 142 (10): 2181. doi:10.1016/j.biocon.2009.04.019. 2009년 7월 14일에 확인함.
-
↑ Bryant, A.A. (2007). Soorae PS, 편집. “Recovery efforts for Vancouver Island marmots, Canada.” (PDF). 《Re-introduction news》 (IUCN) 26: 30–32. 2011년 7월 20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7월 14일에 확인함.
-
↑ Vancouver Island Marmot Recovery Team (2008). “Recovery Strategy for the Vancouver Island Marmot (Marmota vancouverensis) in British Columbia” (PDF). Victoria, BC: B.C. Ministry of Environment. 2009년 7월 13일에 확인함.
-
↑ Janz Vancouver Island Marmot Recovery Team (2004). “National Recovery Plan for the Vancouver Island Marmot (Marmota vancouverensis) in British Columbia” (PDF). Victoria, BC: B.C. Ministry of Environment. 2009년 7월 13일에 확인함.
-
↑ Marmot Recovery Foundation (2015). “The Vancouver Island marmot (Marmota vancouverensis)”. Nanaimo, BC. 2016년 1월 16일에 확인함.
-
↑ Helgen, Kristofer M.; Cole, F. Russell; Helgen, Lauren E.; Wilson, Don E. (April 2009). “Generic Revision in the Holarctic Ground Squirrel Genus Spermophilus” (PDF). 《Journal of Mammalogy》 90 (2): 270–305. doi:10.1644/07-MAMM-A-309.1. 2011년 10월 22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