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simg

코끼리과 ( Korea )

tarjonnut wikipedia 한국어 위키백과

코끼리과(Elephantidae, 표준어: 코끼릿과)는 포유류의 한 으로 코끼리매머드를 포함한다. 육상의 대형 포유류로, 큰 코와 엄니가 특징이다. 코끼리과의 속은 대부분 멸종했고, 아프리카코끼리속(Loxodonta)과 아시아코끼리속(Elephas)의 두 속만 생존해 있다.

코끼리과 분류는 존 에드워드 그레이가 1821년 처음 묘사했으며, 후에 장비목의 한 분류군으로 지정되었다. 여러 학자들이 코끼리과에 장비목의 멸종한 속을 넣거나 빼는 식으로 개정되었다.

분류

코끼리과는 마스토돈 등의 마스토돈과(Mammutidae)와의 공통 조상에서 갈라져나왔다. 장비목의 분류 체계는 아직 안정적이지 않으며 계속적으로 개정되고 있다. 코끼리과는 대략 다음처럼 정리될 수 있다.

장비목(Proboscidea)

Elephantida
코끼리과Elephantidae (elephants and mammoths)
프리멜레파스속(Primelephas)
아프리카코끼리속(Loxodonta)
아시아코끼리속(Elephas)
매머드속(Mammuthus)
팔라에올록소돈속(Palaeoloxodon)
스테고돈속(Stegodon)
스테골로포돈속(Stegolophodon)
스테고테트라벨로돈속(Stegotetrabelodon)
스테고디벨로돈속(Stegodibelodon)
곰포테리움과(Gomphotheriidae)
†Mammutida
마스토돈과(Mammutidae)
마스토돈속(Mammut)
지골로포돈(Zygolophodon)
incertae sedis
에리트레움속(Eritreum)

학자에 따라서는 †아난쿠스속(Anancus)과 †테트랄로포돈속(Tetralophodon), †스테고마스토돈속(Stegomastodon), †파라테트랄로포돈(Paratetralophodon, †쿠비에로니우스속(Cuvieronius)을 코끼리과로 분류하기도 하고, 별도의 곰포테리움과(Gomphotheriidae)로 분류하기도 한다. 비슷하게 스테고돈속(Stegodon)과 스테골로포돈속(Stegolophodon)을 스테고돈과(Stegodontidae)로 나누기도 한다.

현존하는 코끼리과의 분류 역시 여러 차례의 개정이 이루어졌다. 현존하는 코끼리과 동물은 다음이 분류된다.

Elephantidae (코끼리과)

Elephas (아시아코끼리속)
E. maximus 아시아코끼리
E. m. maximus 스리랑카코끼리
E. m. borneensis 보르네오코끼리
E. m. indicus 인도코끼리
E. m. sumatranus 수마트라코끼리
E. m. rubridens 중국코끼리
Loxodonta (아프리카코끼리속)
L. africana 아프리카코끼리
L. cyclotis 둥근귀코끼리

계통 분류

다음은 아프로테리아상목의 계통 분류이다.[1][2]

아프로테리아상목 아프리카호충류 관치목

땅돼지과Aardvark2 (PSF) colourised.png

  아프리카식충류 코끼리땃쥐목

코끼리땃쥐과Rhynchocyon chrysopygus-J Smit white background.jpg

아프리카땃쥐목

황금두더지과The animal kingdom, arranged according to its organization, serving as a foundation for the natural history of animals (Pl. 18) (Chrysochloris asiatica).jpg

   

고슴도치붙이과Brehms Thierleben - Allgemeine Kunde des Thierreichs (1876) (Tenrec ecaudatus).jpg

        근제류 바위너구리목

바위너구리과DendrohyraxEminiSmit white background.jpg

  테티스수류 장비목

코끼리과Elephant white background.png

바다소목

듀공과Dugong dugon Hardwicke white background.jpg

   

매너티과Manatee white background.jpg

         

각주

  1. Prasad, A. B.; Allard, M. W.; Green, E. D. (2008). “Confirming the Phylogeny of Mammals by Use of Large Comparative Sequence Data Sets”. 《Molecular Biology and Evolution》 25 (9): 1795–1808. doi:10.1093/molbev/msn104. PMC 2515873. PMID 18453548.
  2. Erdal, O.; Antoine, P.-O.; Sen, S.; Smith, A. (2016). “New material of Palaeoamasia kansui (Embrithopoda, Mammalia) from the Eocene of Turkey and a phylogenetic analysis of Embrithopoda at the species level”. 《Palaeontology》 59 (5): 631–655. doi:10.1111/pala.12247.
lisenssi
cc-by-sa-3.0
tekijänoikeus
Wikipedia 작가 및 편집자
alkuperäinen
käy lähteessä
kumppanisivusto
wikipedia 한국어 위키백과